1. 협심증이란 무엇이고 원인은?
협심증(Angina)은 심장 근육(심근)으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부족하여 가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주로 관상동맥(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며, 심장으로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못할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협심증은 심근경색(심장마비)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협심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협심증의 원인과 위험 요인
✅ 1) 협심증의 주요 원인
✔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과 지방이 축적되어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협심증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 관상동맥의 경련(혈관 수축, Coronary Spasm):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축하면서 혈류 공급이 감소하여 협심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혈전(Thrombus, 혈액 응고):
혈관 내부에 혈전이 형성되면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해 협심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2) 협심증의 위험 요인
📌 생활 습관 요인
✔ 흡연: 담배 속 니코틴이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전 형성을 촉진
✔ 운동 부족: 혈관 건강이 악화되고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 고지방 식단: 동맥경화를 유발하여 협심증 발생 가능성 증가
📌 건강 관련 요인
✔ 고혈압: 혈관 내벽에 부담을 주고 협심증 위험 증가
✔ 당뇨병: 혈당 조절이 잘되지 않으면 혈관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짐
✔ 고콜레스테롤: LDL(나쁜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여 동맥경화를 유발
✔ 비만: 체중이 증가할수록 심장에 부담 증가
📌 기타 요인
✔ 스트레스: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혈압을 상승시켜 협심증을 유발할 수 있음
✔ 가족력: 심혈관 질환이 있는 가족력이 있으면 협심증 발생 위험 증가
➡ 협심증을 예방하려면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협심증 증상 진단법
협심증의 주요 증상
협심증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 중앙 부위의 통증 또는 압박감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일부 환자는 비특이적인 증상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 1) 전형적인 협심증 증상
✔ 가슴 중앙이 조이는 듯한 통증 (흉통)
✔ 왼쪽 팔, 목, 턱, 어깨, 등으로 방사되는 통증
✔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생하며 휴식하면 완화
✔ 1~15분 정도 지속되며 심한 경우 호흡 곤란 동반 가능
✅ 2) 비전형적인 증상 (특히 여성, 노인, 당뇨병 환자에게 흔함)
✔ 속이 더부룩하거나 소화불량과 유사한 느낌
✔ 피로감, 어지러움, 메스꺼움
✔ 호흡 곤란 또는 무거운 느낌
✔ 등이나 복부 통증
➡ 증상이 애매하게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협심증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협심증의 유형
협심증은 발생 원인과 증상에 따라 크게 안정형, 불안정형, 변이형(프린츠메탈형)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 운동, 스트레스 등으로 유발되며 휴식하면 완화
✔ 가장 흔한 유형으로, 심장에 일시적인 혈류 부족이 원인
✔ 예측 가능한 패턴을 보이며, 니트로글리세린(협심증 치료제) 복용 시 호전
✅ 2)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 응급 상황
✔ 갑자기 발생하며, 휴식 중에도 지속
✔ 기존의 협심증 증상보다 강도가 심하거나 빈번하게 발생
✔ 심근경색(심장마비)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아 즉시 치료 필요
✅ 3) 변이형(프린츠메탈) 협심증 (Variant Angina, Prinzmetal's Angina)
✔ 관상동맥의 일시적인 경련(수축)으로 인해 발생
✔ 새벽이나 밤에 휴식 중에도 발생할 수 있음
✔ 젊은 사람이나 흡연자에서 흔하며, 니트로글리세린에 반응
➡ 불안정형 협심증은 심근경색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협심증의 진단 방법
✅ 1) 병력 및 신체검사
✔ 증상, 발병 시기, 위험 요인 확인
✅ 2) 심전도 검사(EKG, ECG)
✔ 심장의 전기 신호를 기록하여 이상 여부 확인
✅ 3) 운동부하 검사(운동 심전도, Treadmill Test)
✔ 운동 중 심장 기능을 평가하여 협심증 유발 여부 확인
✅ 4)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
✔ 심장의 구조 및 기능 이상 확인
✅ 5) 관상동맥 CT (CT Angiography)
✔ 관상동맥의 협착 여부 확인
✅ 6) 관상동맥 조영술 (CAG, Cardiac Catheterization)
✔ 혈관 조영제를 주입하여 협착된 혈관 확인 (필요시 스텐트 삽입 가능)
3. 협심증 치료방법 예방
협심증 치료 방법
✅ 1) 약물 치료
✔ 항혈소판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혈전 예방
✔ 베타차단제(프로프라놀롤, 아테놀롤): 심장 부담 감소
✔ 칼슘채널차단제(암로디핀, 딜티아젬): 혈관 확장
✔ 니트로글리세린(NTG, 설하정): 급성 협심증 완화
✅ 2) 생활 습관 개선
✔ 금연 및 절주
✔ 저염·저지방 식단 유지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걷기, 수영, 자전거 등)
✔ 체중 조절 및 혈압·혈당 관리
✅ 3) 시술 및 수술
✔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PCI): 좁아진 혈관을 확장
✔ 관상동맥 우회 수술(CABG): 막힌 혈관을 우회하여 새로운 혈류 통로 형성
협심증 예방을 위한 7가지 필수 습관
✅ 1) 건강한 식습관 유지하기
📌 협심증 예방을 위한 식단 원칙
✔ 저염·저지방 식단 유지 (과도한 나트륨, 포화지방은 혈관 건강에 악영향)
✔ 신선한 채소, 과일, 통곡물 섭취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해 혈관 건강 도움)
✔ 등푸른 생선(연어, 고등어) 섭취 (오메가-3 지방산이 혈전 예방)
✔ 트랜스지방, 가공식품 피하기 (패스트푸드, 인스턴트식품은 동맥경화 유발)
📌 협심증 예방에 좋은 음식
🥑 아보카도 – 건강한 불포화지방이 혈관 건강에 도움
🍅 토마토 – 항산화 작용으로 혈관 노화 방지
🍊 오렌지, 레몬 – 비타민C가 풍부해 혈관 탄력 유지
🥗 견과류(호두, 아몬드) – 좋은 지방과 항산화 성분이 혈관 보호
➡ 균형 잡힌 식단은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고 협심증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 2) 규칙적인 운동으로 심장 강화하기
📌 협심증 예방에 좋은 운동
✔ 유산소 운동 (걷기, 조깅, 자전거, 수영 등) – 심장 기능 강화
✔ 근력 운동 (가벼운 아령, 스쿼트 등) – 혈액 순환 촉진
✔ 스트레칭 & 요가 – 혈압 조절 및 스트레스 감소
📌 운동 습관 만들기 TIP
✔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유산소 운동하기 (하루 30분, 주 5회)
✔ 자신의 체력에 맞는 운동 강도 조절 (너무 무리하면 오히려 심장에 부담)
✔ 꾸준한 운동이 중요하며, 갑작스러운 무리한 운동은 피하기
➡ 규칙적인 운동은 심장을 튼튼하게 만들고, 혈압 및 체중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 3) 스트레스 관리하기
📌 스트레스가 협심증에 미치는 영향
✔ 과도한 스트레스는 교감신경을 활성화해 혈압 상승, 심박수 증가를 유발
✔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이 혈관을 수축시켜 협심증 위험 증가
✔ 지속적인 긴장 상태는 혈전 형성을 촉진해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 스트레스 해소법
✔ 규칙적인 명상, 호흡 운동 – 긴장 완화, 혈압 안정
✔ 취미 생활 즐기기 –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함
✔ 충분한 수면(7~8시간) – 심혈관 건강 유지
✔ 긍정적인 마인드 유지 – 부정적인 감정은 심장 건강에 악영향
➡ 스트레스 관리는 협심증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도 필수적입니다.
✅ 4) 금연 및 절주하기
📌 흡연이 협심증에 미치는 영향
✔ 담배 속 니코틴과 일산화탄소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상승
✔ LDL(나쁜 콜레스테롤) 증가 → 동맥경화 촉진
✔ 혈액 점도 증가 → 혈전(피떡) 형성 위험 증가
📌 금연하는 방법
✔ 니코틴 패치, 전자담배 활용 (의사의 상담 후 사용)
✔ 금연 치료 프로그램 참여
✔ 흡연 욕구가 생길 때는 물을 마시거나 가벼운 산책하기
📌 과음이 협심증에 미치는 영향
✔ 알코올은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 부담 증가
✔ 과음 시 체중 증가 → 비만으로 인한 협심증 위험 상승
✔ **주 12회, 소량 음주(와인 12잔 정도)**는 혈액순환에 도움 될 수 있음
➡ 흡연과 과음은 혈관 건강을 망치는 주요 원인이므로, 반드시 금연·절주가 필요합니다.
✅ 5) 고혈압·당뇨·고지혈증 철저히 관리하기
📌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수치를 정기적으로 체크해야 하는 이유
✔ 고혈압 – 혈관에 지속적인 압력을 가해 협심증 위험 증가
✔ 당뇨병 – 혈관 내벽을 손상시켜 협심증 발생 가능성 높임
✔ 고지혈증 – LDL(나쁜 콜레스테롤)이 동맥에 축적되어 혈관을 막음
📌 생활 습관 관리 방법
✔ 저염·저지방 식단 유지
✔ 규칙적인 운동 및 체중 조절
✔ 정기 건강 검진을 통해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체크
➡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을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협심증 예방의 핵심입니다.
✅ 6) 정기 건강 검진받기
✔ 협심증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이 필수
✔ 심전도 검사(EKG), 혈액 검사, 관상동맥 CT 등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함
✔ 가족력이 있거나 위험 요인이 있다면 더욱 신경 써야 함
➡ 정기 검진은 협심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 협심증은 심장으로 가는 혈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흉통 및 불편감을 특징으로 함
✔ 안정형, 불안정형, 변이형 협심증으로 구분되며, 불안정형 협심증은 응급 치료가 필요
✔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며, 심한 경우 스텐트 시술이나 수술 필요
✔ 조기 진단과 관리가 심근경색 예방의 핵심
➡ 협심증 증상이 나타난다면 지체하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