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라바이러스(Parvovirus)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

by 리리설 2025. 2. 26.

 

 

1. 파라바이러스란 무엇이고 원인은?

파라바이러스(Parvovirus)는 다양한 동물과 인간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군입니다.
특히 인간 파르보바이러스 B19(Parvovirus B19)는 소아와 성인에서 발진과 빈혈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입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 전염성 홍반(제5병, Slapped Cheek Syndrome)을 유발하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동물에서는 개 파르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CPV)와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Feline Panleukopenia)**을 유발하는 등 다양한 감염 사례가 존재합니다.
본 글에서는 인간 파라바이러스 B19를 중심으로 파라바이러스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감염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생소하지만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파라바이러스의 감염 경로
파라바이러스 B19는 사람 간 전염성이 높으며, 공기 중 비말을 통해 전파됩니다.

전염 경로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등 비말을 통한 공기 감염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과의 직접 접촉
임신 중 태반을 통해 태아 감염 가능
➡ 잠복기: 감염 후 약 4~14일 후 증상이 나타남.
➡ 전염력: 발진이 나타나기 전 1주일 동안 가장 강함 (발진이 나타나면 전염력 급격히 감소).




2. 파라바이러스 증상

파라바이러스의 주요 증상
파라바이러스 B19 감염은 감염자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가벼운 감기 증상으로 지나가지만, 일부에서는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전형적인 감염(소아와 청소년의 전염성 홍반, 제5병)
얼굴이 맞은 듯한 붉은 발진 (Slapped Cheek Rash)
미열, 두통, 권태감
발진이 얼굴에서 시작해 팔, 다리, 몸통으로 퍼짐
발진은 1~2주 후에 사라지지만, 햇빛 노출이나 열이 날 때 재발 가능
✔ 건강한 소아에서는 자연적으로 회복됨
✔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음
2) 성인 감염(관절통 유발 가능)
발진은 약하거나 없을 수 있음
손목, 손가락, 무릎 등의 관절통 발생
감기와 유사한 증상(미열, 근육통, 피로감)
✔ 성인에서는 발진보다는 관절통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남.
✔ 관절통은 수주~수개월 지속될 수 있지만 영구적인 손상은 없음.
3) 면역 취약층에서의 합병증
✔ 임신부 감염
태아에게 **태아수종(Fetal Hydrops)**을 유발할 수 있음.
임신 초기에 감염될 경우 유산 위험 증가.
✔ 빈혈 환자 및 면역저하자

겸상적혈구 빈혈, 지중해빈혈 등의 혈액 질환 환자에서는 중증 빈혈을 초래할 수 있음.
백혈병, 장기 이식 환자, 면역억제 치료 중인 환자는 바이러스성 무형성 빈혈(Aplastic Crisis) 위험이 있음.


 

 

3, 파라바이러스 진단법, 치료법 예방

 

파라바이러스의 진단 방법
파라바이러스 감염은 임상 증상과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1) 임상 증상 진단
얼굴 발진(전염성 홍반)과 관절통 여부 확인
기저질환(빈혈, 면역저하 등)에 대한 병력 청취
✔ 전형적인 발진이 나타나면 추가 검사 없이 진단 가능.

2) 혈액 검사
✅ 항체 검사(Serology Test)
IgM 항체: 최근 감염 여부 확인
IgG 항체: 과거 감염 여부 확인
✅ PCR 검사
혈액에서 바이러스 DNA를 직접 검출
면역저하자나 빈혈 환자에서 감염을 확인하는 데 유용
✅ 빈혈 검사
혈액 질환 환자에서는 적혈구 감소 여부 확인 필요
➡ 임신부나 면역 취약층은 혈액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라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방법
✔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많음.
✔ 하지만, 면역저하자나 빈혈 환자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1) 일반적인 치료(대증 치료)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발열 및 통증 조절을 위한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 복용
가려움 완화를 위한 항히스타민제 사용 가능
✔ 건강한 사람은 약 1~3주 후 자연 회복됨.

2) 합병증이 있는 경우 치료
✔ 중증 빈혈 환자
심한 빈혈이 발생하면 수혈이 필요할 수 있음.
✔ 면역저하 환자
면역력이 약한 환자는 정맥 면역글로불린(IVIG) 치료 고려 가능.
✔ 임신부 감염
임신 중 감염되면 태아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심한 경우 태아 수혈이 필요할 수 있음.

 

 파라바이러스의 예방 방법
✔ 현재까지 파라바이러스 B19를 예방하는 백신은 없습니다.
✔ 하지만, 개인위생과 감염 예방 수칙을 준수하면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감염 예방 수칙
✅ 손 씻기 생활화 (비누로 30초 이상)
✅ 기침할 때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감염자와의 접촉 피하기
✅ 임산부 및 면역저하자는 감염자와의 접촉 주의
➡ 특히 학교, 보육원, 병원 등 집단 시설에서는 예방 조치가 중요합니다.